건축을 배우면서 크리틱을 받거나 업무를 하다 보면 교수님과 직장상사들께 직접 드로잉을 해주시면서 설명을 해주시기도 하시고 내 생각을 정리하기 위해 종이에 그림을 그리면 정리하기도 합니다. 이런식으로 건축에서 몸을 담고 있다보면 아무래도 그림을 그리게되는 상황이 많이 연출되기도 합니다. 오늘은 그러한 상황을 대비하여 어떻게 드로잉을 하면 좋을지 알아보겠습니다.
그림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림들은 점, 선, 면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이러한 내용은 칸딘스키의 '점, 선, 면'이라는 책으로도 유명한 내용으로 조형요소의 시작이라고 불립니다. 우리는 그리는 그림은 정밀한 그림이 아니고 간단하고 쉽고 알아볼 수 있는 그림을 그리는 것이지만 점, 선, 면의 조합을 통해 이루어 진다는 사실을 알고 이것들이 어떻게 조합되면 좋을지 생각해보면서 그려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점, 선, 면을 순서대로 알아보고 건축에서 어떤 개념을 가지고 사용되는지 알아봅시다.
먼저 점입니다. 점은 온점처럼 단순한 어느 한 점을 생각 할 수도 있지만 건축드로잉에서 점은 조금 다르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 점은 영어로 point입니다. 포인트의 뜻으로는 장소, 지점이라는 의미도 있습니다. 점=지점이라는 의미를 생각하며 드로잉을 해보면 좀 더 점이라는 요소를 쉽게 사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림은 다양한 '점'그림들입니다. 그림들 자체는 선 또는 면으로 만들어졌지만 앞서 말한 점=지점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다양한 지점을 나타내는 그림들이다 라고 생각하면 보다 이해가 쉬울 것 같습니다. 밑에 그림은 점이 직접적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그림안에서 기준이 되는 '지점'이 되는 점입니다. 바로 소실점입니다. 점의 개수에 따라 1, 2, 3 소실점 이라고 불리게 되고 그림 안에 존재하는 사물들의 끝에 소실점으로 빨려들어가는 듯한 특징을 가지게 됩니다. 점은 사실 그림 자체에서는 많이 보이지는 않기 때문에 잊어버리기 쉽지만 중요한 지점을 표현해 줄 수 있는 요소이기 때문에 잊지 않고 사용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으로는 선입니다. 선은 정말 드로잉에서 중요한 요소입니다. 개념적으로는 점이 모여 선을 이루지만 우리가 사용할 때는 그런 것을 생각하지 않고 바로 그리기 때문에 드로잉에서는 제일 기본적인 요소라고 생각됩니다. 우리는 위에서 다양한 점들이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점 자체는 '떨어져서 존재'하여 각자가 개별적인 요소로 인식되어 집니다. 하지만은 선은 '이어져서 존재'하기 때문 선 사이에 어떤 변화를 주냐에 따라 다양하게 보입니다.
선은 쓰임새는 '경계'또는 '방향'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선의 종류에 따라 경계의 종류가 달라지기도 하고 직접적인 방향과 간접적인 방향을 표시해주기도합니다.
실선은 일반적으로 쓰이는 선으로 거의 모든 경우에 실선으로 도면과 드로잉이 그려지게 됩니다. 점선은 가상의 경계를 표현하고자 할 때 쓰이는 선입니다. 도면에서 자려진 부분이라던가 도면에는 보이지 않지만 어떤 영역이 있을 경우 알려주기 위해 사용됩니다. 드로잉에서는 점선이 사용되는 일이 적지만 다이어그램을 그린다거나 조닝 등 계획단계에서는 실선다음으로 많이 쓰이는 선이기때문에 알아두어야하는 선입니다.
마지막으로 면입니다. 면은 선을 이어져서 닫아주면서 생긴 영역입니다. 선을 닫아주면서 자연스럽게 면을 인식하게 되지만 다양한 표현을 위해서 면에 변화를 주게됩니다. 제일 간단하게 변화를 줄 수 있는 방법은 색을 칠해주는 것입니다. 좀 더 구체적이거나 색만으로 표현이 부족할 때는 면에 재질을 그려주면 더욱 다채로운 드로잉을 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평면적인 드로잉(2D)를 그리지않고 소실점을 사용한 입체적인 드로잉(3D)을 그리게 되는 경우 그림자를 통해 드로잉을 더욱 입체적 만들 수 있습니다. 그림자는 건물과 태양에 의해 생기다보니 어떻게 보면 입체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드로잉을 그릴 때는 그림자가 생기는 원리에 대해 생각하지말고 아주 틀리게 그리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태양에 반대편에 그림자가 생긴다'라는 생각으로 건물에 어두운 면을 칠해주면 간단하지만 입체적을 드로잉으로 만들어집니다.
'그리는 프로젝트(드로잉)'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ss study(add-multi) (1) | 2023.09.17 |
---|---|
mass study(base/add-single) (1) | 2023.08.18 |